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세계 최고 컨설팅회사 맥킨지가 문제를 해결하는 법!!MECE와 로직트리

실무스킬Level-Up

by 20대 사회초년생의 성장일기 2023. 2. 7. 21:35

본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제는 문제해결의 기본 사고인 제로베이스 사고와 가설 사고에 대해서 공부했었는데요. 오늘은 그 기본 사고들을 이용하여 문제를 푸는 기술인 MECE와 로직트리에 대해서 리뷰할게요 ^^



MECE(미시)와 로직트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거나 해결책을 생각할 때 사고의 넓이와 깊이를 논리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술이다. 앞선 두가지 사고가 문제해결을 위한 기본적인 태도라고 한다면 두 가지 기술은 문제해결을 위한 기본적인 스킬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가지 스킬을 습득하면 이미 만들어진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각각의 비즈니스 현장에 가장 잘맞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레임을 만들 수 있다.

 

MECE

MECE란 Mutually Exclusive and Collectively Exhaustive의 약자로 우리말로 풀이하면 "어떤 사항을 중복되지 않고, 누락되지도 않게 하여 부분으로 전체를 파악하는 것"이다. 맥킨지에서는 이것을 '미시'라 부르고 있다. MECE는 전체 집합을 누락도 중복도 없는 부분 집합으로 나누어 생각한다는 극히 단순한 집합개념이지만, 비즈니스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사고방식이다. 



'누락도 중복도 없음'이라는 집합의 단순한 사고방식인 MECE가 왜 그토록 중요한 것인가? 그것은 기업의 상위층이든, 생산이나 판매의 최전선에서 뛰고 있는 신입사원이든 간에, 입장에 상관없이 각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사람, 물건, 돈과 같은 경영자원이나 시간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품과 서비스를 받는 사람인 고객이 존재하는 한 경쟁상대보다 효과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자사의 상품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이 경쟁력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즉, 경영자원에 제한이 있는 한 커다란 누락이나 중복은 비즈니스의 효과와 효율을 현저하게 떨어뜨린다. 



다은은 MECE를 활용하는 세가지 포인트이다.

1. 누락되어 표적에서 벗어나고 있지는 않은가?
2. 중복에 의해 효율이 떨어지고 있지는 않은가?
3. MECE로 파악한 후 마지막에 우선순위를 매기고 있는가?

 

 

로직트리

로직트리는 문제의 원인을 깊이 파고들거나 해결책을 구체화할 때, 제한된 시간 속에서 넓이와 싶이를 추구하는 것에 도움이 되는 기술이다. 

문자 그대로 '로직'이라는 것은 논리이고 '트리'라는 것은 잎이 무성하게 자라있는 나무라는 뜻이다. 주요과제의 원인이나 해결책을 MECE적 사고방식에 기초하여 트리 모양으로 논리적으로 분해하여 정리하는 방법이다. 단순히 근거 없는 아이디어의 제시와는 달리 구체적인 해결책, 즉 나뭇잎이 로직이라는 인과관계로 연결되기 때문에 문제를 반드시 해결로 이끌 수 있다. 로직트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뛰어난 점이 있다. 



1. 누락이나 중복을 미연에 확인할 수 있다
2. 원인이나 해결책을 구체적으로 찾아낼 수 있다.
3. 각 내용의 인과관계를 분명히 할 수 있다.

특히 기존 프레임워크가 적용되지 않을 때, 로직트리는 문제해결에 위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단순하지만 대단히 범용적이면서 실천적인 문제해결 기술이다. 





위에 두 기술을 공부한다면 MECE와 로직트리는 독립적인 두개의 기술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거에요



우선 MECE를 이용하여 트리의 각 나무를 설정하고 why, so what, so how 등을 끊임없이 질문하며 로직트리를 완성할 수 있죠. 

로직트리를 만드는 기본은 아래와 같습니다.

1. MECE인가?
2. 트리의 오른편이 구체적인 원인과 해결책으로 되어 있는가?
3. 구체적인 원인과 해결책이 로직의 인과관계로 주요 과제와 연결되어 있는가?

오늘은 MECE와 로직트리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사실 저도 책을 읽으면서 설명이 조금 부족하다고 느꼈어요. 로직트리는 What 트리, why트리, how트리 이렇게 3개로 나눠서 생각하나면 좀 더 구조적으로 문제해결에 접근할 수 있는데 본 책에서는 이런 내용이 없더라구요. 다음에 이부분에 대해서 좀 더 정리해서 로직트리를 다시 정리해볼게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